목차
안녕하세요. 오늘은 다들 한 개씩 있는 ISA 계좌를 통해 미국주식에 투자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ISA 계좌란?
개인 종합 관리계좌로서 Individual Saving Account의 앞글자만 따서 ISA라고 부릅니다. 금융사 통틀어 1인당 1 계좌 원칙으로 만 19세 이상이라면 소득에 관계없이 가입이 가능합니다. ISA의 장단점 에는 아래글을 읽으시면 되는데, 쉽게 말해 가장 큰 장점은 절세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.
https://rageyun7.tistory.com/entry/ISA-%EA%B3%84%EC%A2%8C-%EC%9E%A5%EB%8B%B4%EC%A0%90
ISA 계좌 장점 / ISA 단점
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ISA 계좌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ISA 계좌 정의 및 종류ISA 계좌가 어떤 상품인지, 그리고 그 종류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글을 참조하시
rageyun7.tistory.com
ISA 계좌로 미국주식 투자하려면 어떤걸 가입해야 할까?
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중개형 ISA 계좌 + 국내에 상장된 해외 상장지수펀드 (ETF) 를 선택해야 합니다.
ISA 계좌는 일임형, 신탁형, 중개형이 있는데요. 국내상장 주식을 하려면 "중개형"을 ISA계좌를 통해 예적금을 하려면 "신탁형"을 고르셔야 합니다.
잠깐!! 나는 미국 주식을 하려고 하는데 , 국내상장 주식이라면 얘기가 다른 것 아니냐는 의문이 드실 수 있을 텐데요. 아쉽게도 ISA는 해외주식 "직접" 매수는 불가합니다.
다만 ISA 계좌에서는 국내에 상장된 해외 상장지수펀드 (ETF) 는 가능합니다. 즉 국내 증권사가 운영하는 "미국 S&P 500 ETF" 등은 투자가 가능하며, 절세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것이죠.
자세히 설명 드리면 일반 예수금 계좌에서 방금 말씀드린 "국내 상장 미국 S&P 500 ETF" 등을 거래하면, 거래해서 생긴 이익의 15.4%의 배당소득세가 발생하는데요. ISA에서 거래한다면 수익에 200만 원까지는 과세하지 않고 (비과세) 200만 원이 넘는 금액에 한해서는 9.9%의 세금이 발생합니다.
간단한 예를 들어 볼까요? 제가 펀드에서는 600 만원 의 이익을 보고 국내주식에서는 200만원의 손실을 보았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. 만약 일반계좌에서 거래했을때는 펀드에서 본 600만원의 이익에 대해 배당소득세 15.4%를 걷어가는데요.
만약 같은 경우로 ISA 계좌에서 거래했다면 손익통산( 이익과 손해를 합쳐 한꺼번에 정산) 을 한 금액에서 (600-200=400)
200만원 비과세 처리하고 남은 200중 9.9%만 과세하니 대락 72.6만원의 절세 효과를 보게 됩니다.
글을마치며
최근에 금투세에 대한 조세저항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ISA 계좌의 해외주식 직접투자도 허용하는 방안도 정치권에서 고려하고 있다는 기사도 본적이 있는데요. 다만 이 글을 쓰고 있는 2024년 10월 현재 현행법상으로는 ISA는 아직 해외주식 직접투자는 불가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말씀드리면서 만약, 저처럼 미국주식에 투자하면서 절세도 고려하시는 분이라면,
ISA 계좌+ 국내상장해외 ETF 를 고려해 보시라는 말씀을 드리면서 글을 마칩니다.
'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트코인 장기투자 괜찮을까? (0) | 2025.03.28 |
---|---|
개인연금 운용방법 (2025년 기준) (3) | 2025.03.08 |
국민은행 자동이체 등록방법 / 미성년 이체 한도 (0) | 2024.09.10 |
환율 100% 우대 와 환전수수료 (0) | 2024.05.23 |
ISA 계좌 장점 / ISA 단점 (0) | 2024.05.09 |